• HOME
  • 마이인빌
  • 메일
  • 고객센터
  • 사이트맵
  • 심시도섬마을 섬마을여행 체험관광 마을장터 마을게시판

    새만금의 중심이자 고군산
    국제 관광개발 시발지

    해양관광의 중심 신시도섬마을

    싱싱한 특산품과 먹거리
    볼거리가 풍성한 우리마을

    역사

    고군산진 지도 신시도는 야미도, 선유도, 무녀도, 장자도 등등 10개의 유인도와 20개의 무인도로 구성된 고군산군도에 가보면 바다 위에 무리지어 있는 섬들의 모습에서 산이 무리지어 있다는 뜻의 군산(群山)이라는 지명이 생긴 이유를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신시도에 언제부터 사람들이 살아왔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 조개무덤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청동기시대 이전부터 사람이 살아왔을 것이다 .

    고려시대에 쓰여진 [ 고려도경 ] 에 보면 중국 사신이 고군산군도에 도착하니 김부식 ([ 삼국사기 ] 저자 ) 이 사신을 영접했다는 글이 나온다 . 또한 이 기록에는 고군산군도에 송산행궁이라는 외국 사신을 영접하는 건물이 있었다고 적고 있다 . 이를 볼 때 고군산군도가 외국과의 무역과 외교의 길목이었음을 알 수 있다 . 이렇듯 해상 교통로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고군산군도에는 거친 파도를 피하며 순풍을 기다릴 수 있는 천혜의 진도포구 ( 현 훼리호 선착장 ) 가 있었기 때문이다 .

    왜구의 침입이 잦았던 고려말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고군산군도의 주민들은 큰 고통을 겪었을 것이다 . 이후 새로운 국가를 건설한 조선왕조는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태조 6 년 (1397 년 ) 에 고군산군도에 수군 만호영이라는 수군기지를 설치했다 . 그러나 왜구가 조선의 수군이 있는 고군산군도를 우회하여 금강 하구지역을 노략질하므로 세종 때 고군산군도에 있던 수군기지를 진포변 ( 현 군산시 ) 으로 옮기게 된다 . 이때부터 고군산군도는 고군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

    또한 선조 2 년 (1569 년 ) 에는 망주봉 기슭에 김영아문이라는 수군기지를 설치하고 수군절제사를 파견하여 임피 , 옥구 , 만경 , 김제 , 부안 , 고창 , 무장 , 영광 등 8 개 현의 해상을 방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이때 만들어진 초기의 수군기지는 현재의 망주봉 남쪽 기슭에 있는 오룡묘 인근으로 추정된다 . 이후 임진왜란으로 일시 폐쇄되었던 수군기지는 1600 년 현재의 고군산군도 중심인 진리마을 우체국 뒷산 기슭에 다시 지어졌다 . 이때 만들어진 수군기지인 고군산진은 상당히 급한 경사면의 사방 80m 공간에 10 채 ( 동헌 , 책당 , 객사 , 만고 , 작고 , 군고 , 장고 , 창고 , 삼문 두 곳 ) 의 건물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었다 . 중심 건물인 동헌은 가장 위쪽에 자리하여 망주봉을 바라보고 있다 .

    -자료 출처 : 군산시청, 군산시사